주식 투자에서 필수적으로 살펴봐야 할 지표들은 기업의 재무 상태, 성장 가능성, 주가 적정성 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크게 재무 지표, 주가 평가 지표, 기술적 분석 지표로 나눌 수 있습니다.
---
1. 재무 지표 (Fundamental Analysis)
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.
① 수익성 지표
EPS (주당순이익, Earnings Per Share)
→ 기업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. 높을수록 좋음.
→ 공식: EPS = 순이익 / 총 발행 주식 수
ROE (자기자본이익률, Return on Equity)
→ 주주가 투자한 돈 대비 회사가 얼마나 수익을 내는지. 높을수록 좋음.
→ 공식: ROE = (순이익 / 자기자본) × 100%
ROA (총자산이익률, Return on Assets)
→ 기업이 보유한 자산을 활용하여 얼마나 이익을 내는지.
→ 공식: ROA = (순이익 / 총자산) × 100%
② 성장성 지표
매출 성장률
→ 기업의 매출이 얼마나 증가하고 있는지 나타냄.
→ 공식: (금년도 매출 - 전년도 매출) / 전년도 매출 × 100%
영업이익 성장률
→ 영업이익이 얼마나 성장했는지 평가하는 지표.
③ 안정성 지표
부채비율 (Debt Ratio)
→ 기업의 부채가 자기자본 대비 얼마나 되는지. 낮을수록 재무건전성이 좋음.
→ 공식: 부채비율 = (총부채 / 자기자본) × 100%
유동비율 (Current Ratio)
→ 단기 부채를 갚을 수 있는 능력. 높을수록 안정성이 높음.
→ 공식: 유동비율 = (유동자산 / 유동부채) × 100%
---
2. 주가 평가 지표 (Valuation)
현재 주가가 기업의 실적 대비 적정한지를 분석하는 지표입니다.
① PER (Price to Earnings Ratio, 주가수익비율)
의미: 주가가 주당순이익(EPS)의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.
해석:
PER이 낮으면 "저평가" 가능성
PER이 높으면 "고평가" 가능성
→ 동일 업종 평균 PER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
공식: PER = 현재 주가 / EPS
② PBR (Price to Book Ratio, 주가순자산비율)
의미: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(BPS)의 몇 배인지 나타냄.
해석:
PBR이 1보다 낮으면 "저평가"
PBR이 1보다 높으면 "고평가" 가능성
공식: PBR = 현재 주가 / BPS(주당순자산가치)
③ PSR (Price to Sales Ratio, 주가매출비율)
의미: 주가가 매출액 대비 몇 배인지 나타냄.
해석: PER과 비슷한 개념이지만, 순이익이 아닌 매출 기준.
공식: PSR = 시가총액 / 연간 매출액
④ EV/EBITDA (기업가치 대비 영업이익)
의미: 기업의 시가총액과 부채를 합한 값(EV)이 영업이익(EBITDA) 대비 몇 배인지.
해석: 낮을수록 기업이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음.
공식: EV/EBITDA = (시가총액 + 순부채) / EBITDA
---
3. 기술적 분석 지표 (Technical Analysis)
단기 매매를 위한 차트 분석에 사용됩니다.
① 이동평균선 (Moving Average, MA)
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 주가를 선으로 표현한 것.
단기선(5일, 20일): 단기 흐름 반영
장기선(60일, 120일): 장기적인 추세 확인
② 거래량 (Volume)
주가 변동 시 거래량이 증가하면 강한 신호일 가능성이 높음.
상승장에서 거래량 증가 = 강세 신호
하락장에서 거래량 증가 = 추가 하락 가능성
③ RSI (Relative Strength Index, 상대강도지수)
주가의 과매수, 과매도를 판단하는 지표.
RSI 70 이상 → 과매수 (고점 경고)
RSI 30 이하 → 과매도 (저점 매수 기회 가능)
④ MACD (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)
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를 활용한 추세 분석.
MACD선이 신호선을 상향 돌파 → 매수 신호
MACD선이 신호선을 하향 돌파 → 매도 신호
---
4. 지표 해석하는 법
장기 투자: 재무 지표(EPS, ROE, 부채비율) + 주가 평가 지표(PER, PBR) 중심으로 분석
단기 투자: 기술적 분석(RSI, MACD, 이동평균선, 거래량) 활용
가치 투자: PER, PBR이 낮고, ROE가 높은 기업을 찾기
성장 투자: 매출 성장률, 영업이익 성장률이 높은 기업 중심
---
5. 실제 적용 예시
예를 들어, A라는 기업의 주가가 10,000원이고 EPS가 1,000원이라면
PER = 10,000 / 1,000 = 10
→ 동일 업종 평균 PER이 15라면, 해당 기업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음.
PBR이 0.8이라면
→ 1 미만이므로 장부가치보다 낮게 거래되고 있는 저평가 상태일 가능성 있음.
하지만 부채비율이 200%라면 재무적으로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가 분석이 필요함.
---
이런 식으로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.
#주식투자 #재무제표분석 #PER #PBR #EPS #ROE #주식공부 #가치투자 #성장투자 #기술적분석 #차트분석 #MACD #RSI #이동평균선 #거래량 #주식지표 #경제지표 #투자전략 #주식초보 #재테크 #부자되는법
'꽁이의 투자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배당 ETF 투자 전략 정리 (2) | 2025.02.07 |
---|---|
해외 배당 etf 투자, isa 계좌 활용시 변화된 점 (0) | 2025.02.04 |
2025년 해외투자 공모펀드 세제 혜택 축소, 투자자 주의 필요 (1) | 2025.02.04 |
4대 금융그룹 실적 발표 임박! CET1 비율이 중요한 이유 (0) | 2025.02.03 |
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충격과 트럼프 관세 전쟁 우려… SK하이닉스·삼성전자 하락세 (3) | 2025.02.03 |